안녕하세요 지식마블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39번째 국무회의 (Cabinet Meeting)에서의 모두 발언 및 그에 대한 영문번역입니다.
뉴스보면서, 이런 표현 어떻게 하지? 라고 생각할 때 많죠?
그러한 표현들이 여기 많으니, 잘 익혀두시길 바랍니다 ^^
========================================
오늘 국무회의는 아무도 흔들 수 없는 강한 경제를 만들겠다는 비상한 각오와 의지를 담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게 되었습니다. 지난 2월 새로운 100년의 미래를 다짐하며 백범기념관에서 국무회의를 한 후 두 번째 현장 국무회의입니다.
Today’s Cabinet Meeting is being held at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reflect our extraordinary determination and resolve to create a strong economy that cannot be shaken. It is the second Cabinet Meeting held outside of a government building following the one in February held at the Kim Koo Museum to renew the commitment to our future over the next 100 years.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산실입니다. 우리나라가 과학기술의 불모지나 다름없던 시절 과학입국, 기술자립을 기치로 설립되어 기술의 국산화와 자립화에 매진해 왔습니다.
철강, 조선, 반도체, 자동차 등 ‘한강의 기적’을 이끈 우리 산업의 청사진이 이곳에서 마련되었습니다.
KIST is the cradl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Republic of Korea. When Korea was nothing short of barren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was established under a banner proclaiming science and technology-based nation-building and technological independence. Since then, the Institute has made all-out efforts for the self-reliant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localization.
The blueprints for our core industries that spearheaded the Miracle on the Hangang River – steelmaking, shipbuilding, semiconductors, and automobiles – were laid out here.
* nothing short of : 정말 무엇무엇이다, 참으로 무엇무엇임에 틀림없다
* barren : 불모의, 농작물이 나지않는(토지), 새끼를 못 낳는, 임신 못하는, 열매를 맺지 않는, 재미없는, 내용이 보잘것 없는, 메마른 땅, 불모지, (특히 북미의)황야
지금은 선진국의 기술을 따라가는 것을 넘어서 세계를 이끌어 갈 원천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미래형 로봇 분야의 로봇·미디어연구소나 조금 전 다녀온 차세대반도체연구센터가 그 현장입니다.
경제강국 건설의 원동력이 되는 과학기술 현장에서 국무회의를 여는 그 의미를 각별하게 여겨 주기 바랍니다.
The Institute has now become a pacesetter in developing original technology to lead the world, having evolved from a follower catching up with advanced countries’ technology. The Robotics and Media Institute that works on futuristic robots and the Post-silicon Semiconductor Institute that I just visited a short while ago exemplify these endeavors. I urge you all to take to heart the meaning of holding this Cabinet Meeting here at this center for science and technology that is fueling construction of an economic powerhouse.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는 경제강국을 위한 국가전략 과제입니다. 한일관계 차원을 뛰어넘어 한국 경제 100년의 기틀을 세우는 일입니다.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제조업을 혁신하고, 제조강국으로 재도약하는 길입니다.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입니다.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is the nation’s strategic mission in order to become an economic powerhouse. It is the work of forging the framework for the Korean economy’s next 100 years, taking it beyond the influence of Korea-Japan relations.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is the path toward innovation in manufacturing and our resurgence as a manufacturing powerhouse. It is an essential element of competitiveness in manufacturing.
특히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근본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핵심기술의 자립화에 속도를 높여야 합니다. 소재·부품·장비 생산 기업은 전체 제조업 생산과 고용의 절반을 차지합니다. 대부분 중소·중견기업입니다.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키우는 것은 곧 중소·중견기업을 키우는 것이고, 대·중소기업이 협력하는 산업생태계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는 장기간 누적되어온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만드는 일입니다.
Improving the fundamental competitiveness of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in particular, requires the speedy self-reliant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y. Manufacturers in these industries account for half of all of our production and employment in manufacturing. They are mostly SMEs and mid-market companies. Fostering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is the same as fostering SMEs and mid-market businesses and creating an industrial ecosystem where SMEs and large companies can work together. It is the way to lay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by addressing our economy’s long-accumulated structural problems.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는 또한 세계경제와 교역 환경의 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 전략입니다.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불확실성 확대, 나아가 국제 분업 구조의 변화까지도 대비하며 추진해야 합니다.
Bolstering the competitiveness of ou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also constitutes a strategy to pro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global economy and trade environment. It must be pursued to prepare for the growing protectionism, spreading uncertainty and even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지난 두 달여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는 명실상부한 국가전략 과제로서 추진 동력을 확보하였습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산학연에, 시민들의 격려와 응원까지 보태져 범국민적 차원에서 공감대가 형성되었습니다. 전에 없던 일로 큰 힘이 되고 있습니다.
Over the past two months,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our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as a national strategic mission both in name and substance, has gained momentum for implementation. A consensus has been formed at the national level upon an outpouring of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citizens to large businesses and SMEs as well a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This unprecedented phenomenon has become a great boost.
이를 바탕으로 정부는 모든 가용자원을 동원해 기술 국산화와 공급 안정성 확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습니다.
Building upon this, the Government is pushing ahead with localizing technology, securing stable supplies and strengthen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at the same time by mobilizing all resources available.
이미 구체적인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국산품 대체를 목표로 특정국가 의존도가 높은 25개 핵심 품목의 기술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반도체 분야에서 소재의 국산화가 가시화되고 있고, 대기업과 국산 부품 양산에 성공한 중소기업이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에 힘을 모았습니다. 국민적 공감대, 정부 정책, 산업 현장의 변화가 선순환을 시작했다고 봐도 좋을 것입니다.
Concrete changes have already started. We have embarked on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25 key items for which Korea is highly reliant on a specific country in a bid to replace them with local products. The localization of materials used in semiconductor production is about to be realized. Those large companies and SMEs that succeeded in locally manufacturing parts pooled their strengths to establish mutually beneficial smart factories. We can look upon this as the start of a virtuous cycle of public understanding, government policies and changes in industrial fields.
정부는 과거와는 다른 접근과 특단의 대책으로 이 같은 긍정적 변화에 속도를 더해 나가겠습니다.
The Government intends to accelerate positive changes through special countermeasures and approaches that differ from those of the past.
첫째, 여러 번 강조했듯이 정부 투자를 과감하게 늘리겠습니다. 소재·부품·장비의 기술 경쟁력은 긴 호흡의 투자와 연구․개발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내년도 예산안에 소재·부품·장비 자립화 예산을 올해보다 두 배 이상 대폭 확대했고, 향후 3년간 5조 원을 집중 투자할 것입니다.
First, as we have stressed many times, government investment will be boldly increase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must be accompanied by long-term investment and R&D. In next year’s budget, the funds to increase self-reliance in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will more than double compared to that of this year, and 5 trillion won will be intensively invested in that regard over the next three years.
소재부품특별법 제정 이후 지난 19년간 투입된 5조4천억 원에 버금가는 규모입니다.
핵심 품목의 신속한 기술 개발을 위해 2조 원 규모의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예비타탕성 조사 면제도 확정했습니다.
That amount nearly equals the 5.4 trillion won injected over the past 19 years since the passage of th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Specialized Enterprises, etc., for Materials and Components.
To speed up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core items,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exemptions for R&D projects worth 2 trillion won have been confirmed.
둘째, 기업 간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연구·개발과 생산을 연계하는 데 특별히 역점을 두겠습니다.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특성상 제품 개발 기획단계부터 안정적 판매까지 전과정에서 수요-공급 기업 간 긴밀한 협력이 중요합니다.
Second, a special focus will be placed on establishing cooperative relations among businesses and linking R&D and production. Due to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industries’ characteristic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buyers and suppliers in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 planning and development to stable sales is important.
세제, 금융, 입지, 규제 특례를 패키지로 지원해 기업 간 협력을 촉진하고, 공급기업의 기술 개발과 수요기업의 적용을 연결하는 실증 양산 테스트 베드를 확충하겠습니다.
성장 잠재력을 가진 강소기업과 스타트업을 지원하여 글로벌 수준의 부품·소재·장비 전문 기업으로 육성해 나갈 것입니다.
To promote cooperation among businesses, the Government will provide a package of tax, financing, location assistance and special exemptions from regulations.
Demonstration and mass production testbeds that pair supplier’s technological developments with buyer’s applications will be expanded. Startups and hidden champions that have high growth potentials will be assisted so that they can be nurtured as global enterprises specialized in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셋째, 강력한 추진 체계로 현장의 변화를 촉진하고 지원하겠습니다. 오늘 국무회의에서 의결할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위원회가 컨트롤타워가 되어 기업 간 협력 모델 정착과 제도 개선을 중점 추진할 것입니다. 한시법으로 소재·부품에만 적용되는 현행법을 장비까지 확장하고, 상시법으로 전면 개편하여 법적 기반을 더욱 강화하겠습니다.
Third, we will facilitate and support changes in industrial fields through strong implementation systems. The materials, parts, and equipment competitiveness committee that we’re going to approve at the Cabinet Meeting today will become a control tower and focus on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models among businesses and improving related laws. The existing sunset law that covers materials and parts only will be expanded to cover equipment, and it will be completely overhauled into permanent law in order to strengthen the legal foundation further.
지난주 태국, 미얀마, 라오스 3개국 순방을 마쳤습니다. 이로써 조기에 아세안 10개국 순방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태국과는 한국전 참전국의 우의를 바탕으로 국방·방산 분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우리의 혁신성장 전략과 태국의 산업고도화 전략을 연계하며 첨단 산업 분야까지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I returned from a tour to Thailand, Myanmar, and Laos last week. With this, I’ve wrapped up my plan to visit all 10 ASEAN member states earlier than expected. Korea and Thailand agreed to step up cooperation in national defense and the defense industry on the basis of the friendship between our two countries, which fought together in the Korean War. In addition, it was agreed that bilateral cooperation will be further expanded into cutting-edge industries by linking Korea’s innovative growth strategy and Thailand’s strategy for industrial sophistication.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미얀마와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경제협력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한-미얀마 경제협력 산업단지가 그 출발지가 될 것입니다
Korea and Myanmar, with its high growth potential, laid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and stable economic cooperation. The Korea-Myanmar Industrial Complex will be the starting point to that end.
한국 대통령으로서 처음 국빈 방문한 라오스에서는 수자원 협력 확대와 농업·보건 분야 협력 강화에 뜻을 모았습니다. 라오스에서 발표한 ‘한-메콩 비전’은 메콩 국가들과의 관계를 한층 높이는 이정표가 될 것입니다.
I made a state visit to Laos, the first by a Korean president. There, it was agreed that our two countries will increase cooperation on water resources and promote collaboration in the fields of agriculture and public health. The Republic of Korea-Mekong Vision unveiled in Laos will serve as a milestone in taking ties with the Mekong nations to a new level.
한-아세안 관계 수립 30주년이 되는 올해에 아세안 10개국 순방을 완성하게 되어 더욱 뜻깊습니다. 한반도 평화와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해 아세안 국가들와의 협력 강화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이제 아세안과 우리는 공동의 미래를 위해 서로의 경험과 가능성을 나누는 뗄 수 없는 친구입니다.
Completing the plan to visit all 10 ASEAN nations is all the more meaningful as this year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ASEAN relations. Enhanced cooperation with ASEAN member states is a must – not an option – to bring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achieve sustainable prosperity. Now ASEAN and Korea have become inseparable friends that share each other’s experiences and possibilities for the sake of a shared future.
아세안과의 협력은 대한민국 경제의 새로운 활력을 가져올 것입니다. 또한 외교·안보 등 전방위적 분야에서 협력을 높여갈 것입니다.
Cooperation with ASEAN will revitalize the Republic of Korea’s economy. We will also upgrade collaboration in all areas, including foreign affairs and national security.
아세안 10개국 순방을 마치면서 한-아세안이 함께 잘사는 미래에 대한 희망이 더 커졌습니다. 아세안의 역동성과 성장 잠재력을 보았고, 우리의 신남방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지지를 확인했습니다. 사람 중심의 평화 번영 공동체로써 한-아세안의 미래도 함께 그렸습니다.
With the completion of the tour to all 10 ASEAN member states, the hope for a future where Korea and ASEAN prosper together has grown further. I have witnessed ASEAN’s dynamism and growth potential and reaffirmed its active support for our New Southern Policy. Together, we envisioned the future of Korea and ASEAN: a people-centered community of peace and prosperity.
오는 11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회 한- 메콩 정상회의는 이 같은 협력 의지를 더욱 구체화하면서 공동번영의 미래를 함께 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우리 정부 들어 국내에서 개최되는 최대 규모의 다자정상회의입니다. 국민적 관심과 성원 속에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개최지인 부산시와 모든 부처가 함께 최선을 다해 주길 바랍니다.
The ASEAN-Republic of Korea Commemorative Summit and the inaugural Mekong-Korea Summit to be held in Busan in November will serve as important opportunities to add substance to our determination to cooperate and usher in a future of mutual prosperity. There’s not much time left. These will be the biggest multilateral summits to be held in Korea since my Administration was launched. I ask the host city of Busan and all the ministries and agencies to work together to their utmost so that the events can be held successfully amid public interest and support.
* substance 실체
* add substance 실체를 더하다, 즉 구체화하다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니스 컨퍼러스 관련 지문 business conference (0) | 2019.09.22 |
---|---|
영어를 잘 하려면~ (영어 공부 방법 꿀팁) (0) | 2019.09.14 |
영어 사과 이메일표현 apologizing via email (0) | 2019.08.30 |
스티브 잡스 스탠포드 대학 졸업식 축사 Stay Hungry. Stay Foolish. (0) | 2019.08.29 |
토플 리딩 - Parasitic Plants (1) | 2019.08.26 |